우선 어떻게 가공할지를 계획을 한다. 예를 들면 황삭 중삭 정삭의 공구 크기들을 생각해 본다. 특히 황삭 공구를 속도위주로 선정할지 품질 위주로 선정할지를 선택한다. 공구경을 크게 할경우 속도 위주로 황삭이 지나가겠지만 작게 하는 경우 황삭 가공에서 제거률이 높아서 중삭 정삭에 부담을 적게 주게된다. 수립 이후에는 프로그램 운영방법에 따라 둘패스를 짜서 미리보기 가공으로 확인 후에 NC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장비 포스트를 선택하고 NC 데이타를 출력한후 편집하여 저장후 장비에 저장매체나 FTP 등을 통해 파일을 전송한후 장비 공장물을 세팅하고 공구세팅을 마친후 가공을 시작한다.
콜드페이슨이 생긴 이유 : 쥬스병등을 제작후 완전환 병마게 형상을 위해서 1차 페리슨 사출에서 병마게 부분을 완전 결정화 되도록 하고 2차 중공성형에서 몸통을 고주파가열등으로 가열후 연신하며 중공성형한다.
콜드 페리슨은 핫페리슨으로는 정확히 병마게 부분이 형상이 생성 안되어서 콜드 페이슨법을 사용하게 됨
콜드 페리슨법 => 중공연신성형 법
핫페리슨법 ==> 다이렉트 법 , 금형이동법 , 페리슨 이동법
개념 : 물병용기 와 같이 속이 비고 바닥이 있는 사출품 성형 방법
방법 :
압출 중공 성형 : 먼저 블로어 될 속이 빈 튜브 예비사출물을 압출 -> 이어서 예비 사출물을 완성할 금형으로 감싼후 -> 공기를 불어 넣어서 금형안에서 팽창하도록 하여 용기 모양이 되도록 한 후 취출하여 완성
상세 사항 : 예비 사출물을 금형으로 감쌀때 밑 부분이 봉합 되도록 한다.
생산 응용 적용 : 금형이동식 블로 성형기 ( =핫 페리손 법 , 다이렉트 블로우 )
블로 성형에서 금형을 이동하여 파리손 압출을 연속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블로 성형기이다.
곧 금형을 크로스 헤드 다이에서 압출한 파리손을 끼우는 위치에 이동하여 파리손이 소정의 길이에 달하면 동시에 그것을 끼우고 곧바로 압출노즐 위에 설치 되어 있는 커터로 파리손을 절단한 뒤 금형을 성형 위치에 이동시킨다. 성형위치에 이동한 금형내에는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에서 파리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블로 성형을 한다. 그 다음 금형을 열어서 블로성형품을 꺼내는 동시에 금형을 파리손 압출용 다이의 위치에 이동한다. 금형의 개수와 이동형식에 따라서 수종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파리손 이동식 블로성형기와 마찬가지로 열안정법이 좋지 않은 성형재료의 블로성형에 적합하다.
단점 : 만약 병목에 나사가 있을 시 명확히 형상을 구현하기 조금 어렵다. ( 그런 경우 사출 중공성형을 한다. )
사출중공성형 : 페리손을 금형에 사출하여 완성하고 뒤이어 금형을 블로어 할 금형으로 교환하거나 이동후 압축공기로블로어 하는 성형 ( 페리손 사출후 뒤이어 블로우성형하는 경우를 1단계 블로우성형이라한며 핫페리슨법에 해당함)
압출 중공 성형으로는 병 뚜껑을 체결하는 병 주입구 스레드 형상을 명확하게 하기 어려워서 페리손을 사출 성형으로 병입구 부분의 스레드를 완성하며 페리손을 사출 결정화 완성 (냉각) 후 패리손 재가열후에 중공성형 하는 것을 2단계 블로우성형이라하며 콜드페리슨법에 속한다. 이경우 PET 병 생산에 많이 쓰이며 특히 블로우 바로직전에 스트레치 로드를 통해 페리손을 축 방향으로 스트레치 시키면서 블로잉하여 만드는 경우 사출 연신중공성형이라 한다.
사출 연신중공성형 : 페리손을 중공성형 할때 페리손을 축방향으로 누르며 스트레치 시키면서 블로잉 하는 법 (로드로 누르며 연신하는 이유는 페트병과 같이 길이가 긴경우 파리손을 그냥 압축공기로 블로잉하면 축방향보다는 원주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
1. 외관 검사 : 외관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 (=육안검사 라고도 함 ) 제품의 완성된 모양을 관찰하는 비파괴 검사의 한 종류로 제품의 치수 측정, 제품의 변형및 결함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는 것. 또는 검사 대상의 모형이나 색깔들 외관을 보고 실시하는 검사로, 변형 파손 변색 등을 검사한다.
기계 구조용 탄소강 : SM 중탄소강에 속하며 탄소량 0.3% ~ 0.6% 까지를 말하며 열처리후에 HRC 40 정도가 된다. 금형에서는 프레스의 홀더와 사출의 몰드베이스에 주로 쓰인다. 가공성이 좋다.
탄소 공구강 : JIS:SK KS:STC 고탄소강에 속하며 탄소량 0.8%~ 1.5% 까지의 탄소강이며 열처리후 HRC 50까지 형성된다. 주로 프레스에서 원형 펀치핀이나 리프터 핀, 사출에서 밀핀 등으로 많이 쓰인다 열처리후에도 가공성이 양호하다.
합금 탄소 공구강 : JIS :SKS, KS: STS 고탄소강 ( C 약 1.5%) 에 합금 W, Mo, V, Co 등이 합금되어 열처리후에 HRD 55까지 올라간다. 열처리는 질화열처리 일반열처리 모두 사용하며 너무 경도가 높아서 변형이 되기도 한다.
주요 강종으로는 , STS 3 , STS 5 등이 쓰인다
합금 다이스 공구강 : JIS :SKD KS STD , STD 강은 프레스용 냉간단조강으로 잘 쓰이며 열처리후에 100%마르텐사이트를 얻기위해 초서브처리를 해야한다. 뜨임은 고온뜨임 ( 400~500도) 후에 안정화된 조직을 얻는다. 고온뜨임후에는 소르바이트 조직을 주로 얻는다. 합금원소로는 합금 탄소강에서 W, Co를 빼고 Cr Ni 첨가시킨다. 각 원소들의 역할은 Cr : 담금질성을 좋게하고, Ni 가공 경화능을 높인다. Mo : 열처리성을 개선시킨다. V : 열처리성을 개선시킨다.
주요 소재로는 SKD11 ( 냉간가공성 좋음 ) 강인성이 좋음 , SKD 61 ( 열간가공성 좋음 ) 이 쓰인다. 특히 와이어 가공성이 좋고 청정성이 좋다.
합금 고속도강 : JIS, KS : SKH 합금 다이스 공구강에 -W 계로는 SKH9 계통으로 절삭공구용으로 쓰이고 -Co계는 SKH11 계통으로 금형강 등으로 쓰인다. 열처리는 1050도 까지 가열한 후
사출 금형의 소재는 캐비티의 소재와 몰드베이스의 소재로 나눌 수 있고 프레스 금형의 소재는 속재료와 겉재료 상하홀더의 재료로 나눌수 있다.
사출 금형의 몰드베이스와 프레스의 상하 홀더 는 주로 SM20C , SM45C가 쓰인다.
사출금형의 코어는 KP4M , NAK80 , SKD61 , 스타박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프레스 코어는 SKD11 , SKS3 등이 사용된다.
선정이유 : KP4M : 일반 몰드용으로 자주 사용된다. 적당한 가공성과 내구성 내식성을 가지고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 (경도 : HRC 45 프리하든 )
NAK 80 : 경면 몰드용으로 사용된다. 주로 방전가공성이 좋다. 방전가공에 대한 경면성이 좋고 래핑가공에 대한 경면성 또한 좋다.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여 경면 사상을 위한 금형으로 쓰인다. ( 경도 HRC 48정도 프리하든 )
SKD 61 : 위의 KP4M 이나 NAK80은 바로 사용가능한 프리하든강인것에 반하여 SKD 61종은 열처리를 해아하는 강이다. 주로 열처리전에 NC나 밀링가공을 완료한 후 열처리후에 방전가공과 와이어 가공을 시행하여 사용한다. 열간 내구성이 좋아서 일반 품질 이상과 오랜 사용을 위해서는 적합하다. 열처리 후에 경도 HRC 50 정도을 예상할 수 있다.
스타박스 : 래핑작업에 의한 경면성이 좋고 내식성이 좋아서 PVC 가공등의 염소에대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다. 프리하든강중에 고급강에 속하며 경면성 내식성 내구성이 뛰어나다. 고가의 재료이며 경도 HRC 53 프리하든 이다.
SKD11 : 냉간 금형용 다이재질로 많이 사용하며 와이어 가공성이 좋고 자체 청정성이 뛰어나다. 어널링 된 상태에서도 질긴 재질이어서 가공성은 좋지 않으나 열처리성이 좋아서 1100도에서 송풍냉각으로도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다. 다만 고 탄소강으로 -98도 정도까지 내려가야 완전마르텐자이트가 되므로 내구성과 경시성이 좋다.
SKS3 : 합금 공구강으로 가격대 성능이 좋고 HRC 58이상의 열처리가 가능하여 프레스 받침판등에 자주 쓰인다. 주로 질화열처리로 사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