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키워드>
연삭 숫돌의 결합제의 종류와 용도
비아리파이트(V) : 대부분의 숫돌 결합제 / 실리케이트 (S) : 대형숫돌에 쓰임 / 탄성결합체 : 절단용 숫돌로 사용
금속결합제(M) : 다야몬드 숫돌의 결합제로 사용됨
연삭 과열 및 균열의 발생 원인과 대책





재료의 연삭성

연삭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피삭성을 좋게하는 원소 : P , S , Pb
피삭성을 나쁘게 하는 원소 : Mn, C, Si, Cr, V, W, Mo, Ni
피삭성을 좋게하는 비금속개재물 : MnS, FeS, MnO, FeO
피삭성을 나쁘게 하는 비금속개재물 : Al2O3, SiO2
연삭 깊이를 결정하는 요소

<기본 학습 내용>
연삭 작업의 특징
1. 절삭 속도가 빠르다
2. 절삭 깊이가 매우 얕다
3. 경사각이 음수이다
4. 고경도의 재료도 가공이 가능하다.
경사각이 음수라는 것에 대한 것

1. 주분력보다 배분력이 크다.
2. 절삭 칩이 매우 크게 변형 -> 절삭발열이 높다
연삭 작업의 장점
1. 절삭 공구로는 깍를 수 없는 경질 또는 취성의 재료도 가공이 가능하다
2. 요구하는 사상면 조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3. 절인에 재생 작용이 있다. ( 탈락 재생 )
단점
1. 연삭이 고속이어서 온도가 높아서 소재가 타거나 깨질수 있다.
2. 연삭이 고속이어서 산업 재해 위험이 있다
연삭 공구에 대하여
연삭 숫돌은 인조숫돌이며 절인(切刄 : 끊을 절 , 칼날 인) 되는 입자이며
산화알루미늄 이나 탄화규소 를 분쇄 미립자로 만들어 결합제로 강하게 접착시킨것이다.
숫돌의 성능은 입자 결합제 기공 3자에 의해 결정된다.

숫돌이 무르다는 것은 입자가 아니라 결합제와 기공의 비율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숫돌이 거칠다 , 곱다는 것은 입자의 크기를 말하는 것이다.
연삭 칩이 형태에 따른 숫돌 상태 판단
리본형 : 리본 모양의 칩 , 스틸재의 연삭 , 숫돌의 절삭성이 좋을때 나옴

전단형 : 분말 형태의 칩 , 주철 같은 취성 있는 재료의 연삭 , 숫돌의 절삭성이 좋을 때 나옴

뜯김형/ 구성인선형 / 용융형 : 스틸재의 연삭에서 분말 형태의 칩이 나오면 숫돌의 연삭성이 나쁜것임
칩이 지석면에 용착퇴적한된 칩이 벗겨져 떨어진 것 , , 숫돌의 연삭성이 나쁘고 칩이 연삭열로 용해되어 나온것
눈막힘이나 눈마모된 숫돌로 연삭할때 나타남

결합제의 역할
- 결합제는 바이트에 해달하는 지립을 붙잡고 있는 일종의 공구대 역할
- 숫돌 표면에 있는 지립이 작아지지 않으면 그 지립에는 큰 절삭력이 걸려서 결합제가 파손되어 지립이 떨어지는 현상발생
- 선반의 공구대는 1대이므로 공구대에서 바이트가 이탈하면 끝이나, 연삭숫돌의 경유 입자가 무수히 많으므로 표면의 지립이 떨어져 나가도 다음층의 지립이 나타나서 새로운 切刄이 형성 ( 숫돌의 재생작용 )
- 재생작용이 없는 숫돌은 깍임새가 금방 나빠지므로 사용할 수 없다.
- 지립이 받는 절삭력은 상대재질이 단단할 수록 또 절입량이 많을 수록 크게 되므로 결합제의 강도을 작업에 따라 바꾸지 않으면 양호한 자생작용을 일으키게 할 수 없다.

참조 : 무기화합물 => 금속 비금속 ( 탄소를 포함하지않은 화합물, 예외: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 다이야몬드, 흑연 )
유기화합물 => 탄소로 만들어지는 화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