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 기계의 다이하이트는  장착할 수 있는 금형의 최대 높이를 말하는 것이다.

 

다이 하이트 = 슬라이드 조절을 최대로 올리고  나서  하사점의 슬라이드 하면에서 볼스터의 상면 까지의 거리 

 

다이하이트가 클수록 일반적으로 큰 톤수이다. 톤 수가 높을 수록 다이 하이트도 높아진다. 

 

높은 하이트를 필요로 하는 제품인 경우 필요하중도 높이지는 경우가 많다. 

 

일 능력 

토크 능력 

하중 능력 

 

프레스 기계는 틀 자체를 강성구조로 가공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가공되어 있는 형태는 C형구조와 H형구조가 있다.  모터의 회전을  플라이휠을 통해  증폭한후 크랭크축에 움직임에 커넥팅로드로 연결된 슬라이드 (램)은 상사점과 하사점의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상사점에서 내려오기 시작하여 하사점에 다다르며 압력 능력을 나타내는 곳이 토크 능력 위치라 한다. 토크 능력은 크랭크의 강성과 커넥팅 로드의 강성으로 능력이 주어진다. 토크 능력이 좋기 위해서는 크랭크의 강성과 커넥팅로드의 강성이 좋아야한다. 

하중능력은 얼마만큼의 하중을 발휘하느냐이다. 토크능력(mm) x 하중능력(ton) = 일능력 ( ton . mm) 로 나타낸다.

 

속도-스트로크 선도  A= 토크 범위 ( 가공스트로크 )  B = 스트로크

참조 ) 

넥킹 가공 

드로잉 가공으로 제작된 용기등의 입구를 줄여서 병목으로 만드는 가공 

 

 

그외 유사한 가공

 

 벌징 가공 

병목이 아닌 중간을 배 불룩하게 만드는 가공 

 헤밍 가공 

판재의 끝을 완전히 접는 가공으로 판재를 마무리 하는 가공

 스웨이징 가공

비교적 두꺼운 소재의 끝을 좁아지게 체적을 줄여 주는 가공 ( 110V 콘센트 처럼 )

 

 

 커링 가공 

판재 끝을 마무리하듯이 동글랂게 말아주는 가공 또는 판재와 판재을 이어주기 위해 하는 가공 

 

쇼크 라인 : 드로잉 R 부에 펀치에 의해 눌린 자국 

 

발생 원인 : 

  1. 다이의 Rd가 자연스럽게 가공되지 못했거나 작아서 생긴다.

  2. 점도가 없는 드로잉류를 사용하여 윤활역할이 없어서 생간다. 

  3. 가공 속도가 너무 빨라서 소재의 유입과 변화 이전에 변형으로 생긴다.

 

 대책 : 발생 원인을 찾아서 

 1번인 경우 다이의 R 가공을 다시 하거나  윤활코팅 ( TD 코팅 ) 등을 하여 매끈하게 해준다.

 2번인 경우 극압 드로잉유를 사용한다. 

 3.번인 경우 속도 조정을 통해서 확인하고 조치 한다. 

 

역할 : 펀치에서 스트립을 벗겨내어줌 

 

종류 : 고정 스트리퍼 , 가동 스트리퍼 

 

적용방법 :  판재가공에 벤딩등의 형상이 없이 이동레벨과 가공 레벨이 같은 경우 중에 소재가 3.0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 고정 스트리퍼를 고려한다. 

 

고정 스트리퍼의 장점 : 1. 가공비가 저렴하다  2. 강도가 크다 ( 두꺼운 철판의 스트리핑력이 큰 경우 적당) 3. 가이드 역할도 해준다. 

 

가동 스프리퍼의 장점 : 1. 정밀 가공이 된다  2. 전단력은 상승되나 치수 정밀도가 높아진다  3. 벤딩가공등에 소재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4. 주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 스트리퍼의 단점 :  금형의 내구성이 고정 스트리퍼에 비해 낮아진다 ,  가동성에 문제가 없도록 윤활유와 방청관리르 해야한다.  가동 균형이 맞아야 내구성이 좋아진다 

 

 

 결론 : 스프리퍼는 고정 스트리퍼와 가동스트리퍼가 있는데 공통적 역할은  펀치에서 재료 스트립역할이며 가동 스프리퍼는 소재 가압역할을 추가로 가진다. 

1. 드로잉의 정의 

   드로잉은 재료의 이음쇠가 없이 중공용기를 주름이나 균열이 생기지 않게

다이안에 펀치를 눌러 넣어서 성형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2. 역드로잉

   1차 드로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드로잉하는 공정, 제품의 내측과 외측이 바뀐다.

 

3. 재드로잉 

   1차 드로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드로잉하는 공정, 제품의 외측과 내측이 변하지 않는다.

 

4. 재드로잉과 역드로잉의 차이 

 

1) 역드로잉을 하는 이유에 대한 차이 

 

 A) 역드로잉 사용 이유 

 

  1] 좀더 높은 연신을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한다. 

   - 바우징거의 효과에서 알수 있듯이 정드로잉 이후 역드로잉으로 정드로잉 보다  더 많은 연신을 이끌어 낼수 있다. 

 

  2] 터짐 없이 연신 되도록 정 - 역 - 정을 반복하기도 하고  정 으로 시작해서 - 역으로 끌어내려 진행한다. 

 

  3] 형상에 따라 진행 하는 역드로잉 이있다. 

 

 

 B) 바우징거 효과란 

 1] 연신과 압축의 반복을 통해서  재료를 좀더 연신할 수 있다. 

 2] 일정 크기 까지 인장한 재료를 다시 압축을 통하면 시작했던 인장의 값보다 더 진행이 된다. 

 

5. 결론 

 

 : 드로잉은 소재를 이음매 없이 연신 시켜서 용기를 만드는 작업으로  초드로잉 후에 재드로잉을 반복하여 

 목표크기로 늘리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소재가 연신이 잘 안되는 소재인 경유 초드로잉을 목표값에 반대로 진행하고 

 이후 재드로잉을 역드로잉으로 진행하여 재드로잉을 반복한다면  그냥 재드로잉만 하던 길이보다 점더 연신을 시킬수 있다. ( 바우징거 효과 ) 

 

 특히 박판인 경우 재드로잉만으로는 소재가 파열될수 있으므로 역드로잉과 재드로잉을 반복하여 목표치수 까지 

 연신 할 수 있다.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