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성형결함중 수축은 치수에 영향을 많이 준다.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은 주로 살두께와 상관이 있다. 

용탕이 같이 있는 핫챔버는 용융점이 낮고 흐름이 좋아 박육 성형에 무리가 없으나 플린저로 직접 가압하는것이 아니어서 가압력이 부족하여 후육성형에는 치수 결함이 생기기 쉽다. 

반대로 용탕이 떨어져 있는 용융점이 높은 콜드챔버는 플린져가 가압하여 후육성형에 무리가 없으나 흐름이 좋지않아서 박육성형에는 미충전이 일어나기 쉽다. 

 

치수에 영향을 주는 성형결함 

1. 미충전 / 2. 수축 

 

해결책 

1. 미충전 : 플래쉬를 잘 운영하여 미충전을 방지한다. 

2. 수축 : 라이저를 활용하여 수축 보상이 되도록 사용한다,

 

 

1. 다이케스팅의 종류 

핫챔버 / 콜드 챔버 / 저압 다이캐스팅 / 중력 다이케스팅 

 

2. 핫챔버와 콜드챔버의 구분 

용탕이 같이 있는 경우는 유동점이 그리 높지 않은 아연, 납, 주석 등으로  금형과 용탕이 같이 있는 핫챔퍼 ( 구즈넥 사용 ) 라 하고  용융점이 높은 편인 알루미늄 , 마그네슘등은 금형과 용탕이 떨어져 있는 콜드챔퍼 (냉가압) 라 한다. 

 

3. 콜드 챔퍼의 경우 고압다이캐스팅 속함

 콜드 챔퍼의 경우 고압다이캐스팅에 속하는데 이유는 용융점이 높아 용탕이 떨어져 있으나 국자로 떠서 가져오면서 식고 금형에 주입하려 할때 유동성일 잃기 때문에 가압하게 된다. 

 

4. 후육가공과 박육 가공

핫챔퍼는 플린저로 직접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용탕에 대기압을 주어 구즈넥을 통해 용융된 재료가 주입되도록 되어있어 고압이 부족하지만 용탕에서 바로 주입되어 흐름이 좋아 박육가공에 적합하고 콜드챔퍼는 플린저로 직접 가압하기 때문에 힘이 좋으나 용탕이 따로 있어 재료가 쉽게 식어 플린저로 가압해서 후육의 품질이 좋으나 박육품질은 않좋다.

 

5. 고압다이케스팅의 미세 수축공 불량의 원인 

콜드 챔퍼안에 레이들로 용융소재를 떠서 주어 채우고 난후 플린저로 금형안으로 밀어넣을때 속도 조절을 잘못하면 난류 발생으로  쇳물에 기체가 혼합되어 쇳물 내부에 수축공이 생길수 있다.

 

6. 플린저로 가압할때 난류가 발생되지않토록 하며 쉿물에 기체가 섞이지 안토록 한다. 

 

 

 

그냥 서술

형 단조에서 플래쉬는 캐비티를 채우고 넘치도록하여  캐비티내에 흐름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각부 명칭 : 1) 랜드부 2) 플래시부 3) 파팅라인 4) 빼기구배 

 

 역할  1)  랜드부 : 캐비티 내에 압력을 유지하며 일부를 플래쉬로 유입시켜 완충 되도록하고 차후에 블랭킹으로 제거 될 수 있도록 한다.   

2) 플래시부 : 캐비티를 채우고 넘쳐 나오는 소재가 모이는 곳

3) 파팅라인 : 랜드부가 유지되며  캐비티 내에 해준다. 

4) 빼기구매 : 강한 압박으로 눌린 소재가 빠지도록 한다. 

 

기타 

형단조 중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조는 

 

기타 플래시가 없는 단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