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7 에게

                e f g h 는 헐거움 

               js k m n 중간끼움이고

               p r s t u x 는 억지 끼움 

 

홀18~30 H7 = 20 ~ 0   /  H6 = 13~0

   g6  -20 ~ -10  꽤헐거움  h6 -10 ~ 0 헐거움(미끄럼)  m6  10~20 중간끼워맞춤 (타압) p6 20~30 억지 (압입)

 

 프레스에서 사용하는 것 ( 기준 H7)  g6: 가이드리프트, m6: 맞춤핀, n6: 펀치, 가이드포스트(펀치), p6 : 다이 인서트

 

 

 

프레스에서는  프레이트의 평편도와  플레이트 안에 가공의 직각도가 중요하고  다이 부픔의  측면에 대한 평면의 직각도와 펀치 부품의 직진도가 중요하다. 

 

1.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대한 윗면의 평면도 (평평도) 

 해설 : 한쪽 바닥에 대하여 마그네틱에 부착후 연마을 해서 얻어지는 치수인데 이 치수가 중요 플레이트 3장에 대해서는 중요하다. ( 펀치판, 다이판, 스트리퍼판 ) 

 

 

 

 

2. 플레이트의 안에 와이어 가공에 대한 직각도 

해설 : 와이어 가공의 직각도가 가장 중요하다.  물론 와이어 가공은 플레이트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기에 평면도가 정확할수록 좋겠고 그리고  그 평면도를 기준으로 세팅을 하되 오차가 적도록 하여야 품질과 수명이 좋아진다. 

 

 

3. 펀치 가공품의 직진도 

해설 : 프레스 가공품 중에는 원통가공물이 다수 있다.  그중에 소경일수록 직진도가 좋아야 편치의 수명이 연장된다. 

 

 

 

 

기초 학습 

더보기

기하공차 

 형이 자 위 를 흔들었다.   ( 형상공차 ,  자세공차 ,  위치공차 , 흔들림공차 )

형상공차 : 직진도 , 평편도, 진원도 , 원통도 ,  

 - 형상은 얼마나 곧은가, 얼마나 평편한가, 얼마나 동글한가, 얼마나 동굴하고 곧은가  

서술 : 형상은 곧기와 평편기 둥굴기 둥굴며 곧기 

 

자세공차 : 평면도 직각도 경사도 

서술 : 자세는 0도 90도 45도 등 

 

위치공차 : 위치도 , 동축도, 동심도, 대칭도 

서술 : 위치는 홀위치가 있고  동축과 동심 그리고 대칭이 있다. 특히 동축은 원통의 축이기준이고 동심은 평면의 중심이 기준이다. 

 

흔들림 공차 : 흔들림 , 온흔들림  ( 흔들림 = 원주흔들림, 온흔들림=전체흔들림 )

서술 : 흔들림은 지정한 원주의 흔들림 (진폭) 공차이고 온흔들림은 지정한 치수역 전체 원통의 흔들림이다.  

 

프레스에서는  프레이트의 평편도와  플레이트 안에 가공의 직각도가 중요하고  다이 부픔의  측면에 대한 평면의 직각도와 펀치 부품의 직진도가 중요하다. 

1. 스트레이트 프로브 :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며 측면 윗면등이 측정이 되어 원통 내경 등 측정이 가능하다. 

 장점 : 가장 범용적이고 일반적이다.  단점 : 복잡한 형상을 측정하려면 시간이 걸린다.

 

2. 포인트 프로브 : 측면측정이 안되고 오직 수직 1점만 측정한다. 깊은 홈을 가지는 나사산 깊이등을 측정 가능하다.

  장점 : 스트레이트 프로브 보다 좁고 깊은곳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단점 :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측면은 측정할수 없다.  ( X, Y  프로빙 안됨 ) 

 

3. 스케닝 프로브 : 헤드가 움직이며 형상을 측정한다.  폭합 형상 측정에 유리하다.

장점 : 복합 형상 측정에 적합하며 스트레이트 프로브 보다 시간이 절약된다.  단점 : 고가이다. 

 

부연  출처 : 덕인 )

스트레이트 프로브 

접촉식 터치 프로브 : 일반적인 포인터 , 내경 , 외경 측정등 측면 측정 (  일반적 측정을 위하여 X, Y 프로빙을 한다.  가장 보편적 장비 )

 

 포인트 프로브

접촉식 포인터 프로브 (1축) (  나사산 깊이 등 정확도 높은 1포인트 측정을 위해 X, Y 프로빙을 하지 않는다. )

 

 

 스케닝 프로브

접촉식 스케닝 프로브 (, 형상을 스케닝 하기 위해 5축 프로빙 하며 고가이다. ) 

 

1. 전연성 : 늘어나는 설질 

2. 유동성 : 이동하는 성질 

3. 가소성 : 가소되어 부드러워지는 성질

 

소성가공 

1. 벤딩 

2. 드로잉

3. 벌징

4. 헤밍 

5. 포밍 

6. 익스펜딩

7. 커링

 

소성변형의 원자의 전위이동에 의한 슬립에서 발생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