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 금형의 소재는 캐비티의 소재와 몰드베이스의 소재로 나눌 수 있고 프레스 금형의 소재는 속재료와 겉재료 상하홀더의 재료로 나눌수 있다.
사출 금형의 몰드베이스와 프레스의 상하 홀더 는 주로 SM20C , SM45C가 쓰인다.
사출금형의 코어는 KP4M , NAK80 , SKD61 , 스타박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프레스 코어는 SKD11 , SKS3 등이 사용된다.
선정이유 : KP4M : 일반 몰드용으로 자주 사용된다. 적당한 가공성과 내구성 내식성을 가지고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 (경도 : HRC 45 프리하든 )
NAK 80 : 경면 몰드용으로 사용된다. 주로 방전가공성이 좋다. 방전가공에 대한 경면성이 좋고 래핑가공에 대한 경면성 또한 좋다.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여 경면 사상을 위한 금형으로 쓰인다. ( 경도 HRC 48정도 프리하든 )
SKD 61 : 위의 KP4M 이나 NAK80은 바로 사용가능한 프리하든강인것에 반하여 SKD 61종은 열처리를 해아하는 강이다. 주로 열처리전에 NC나 밀링가공을 완료한 후 열처리후에 방전가공과 와이어 가공을 시행하여 사용한다. 열간 내구성이 좋아서 일반 품질 이상과 오랜 사용을 위해서는 적합하다. 열처리 후에 경도 HRC 50 정도을 예상할 수 있다.
스타박스 : 래핑작업에 의한 경면성이 좋고 내식성이 좋아서 PVC 가공등의 염소에대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다. 프리하든강중에 고급강에 속하며 경면성 내식성 내구성이 뛰어나다. 고가의 재료이며 경도 HRC 53 프리하든 이다.
SKD11 : 냉간 금형용 다이재질로 많이 사용하며 와이어 가공성이 좋고 자체 청정성이 뛰어나다. 어널링 된 상태에서도 질긴 재질이어서 가공성은 좋지 않으나 열처리성이 좋아서 1100도에서 송풍냉각으로도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된다. 다만 고 탄소강으로 -98도 정도까지 내려가야 완전마르텐자이트가 되므로 내구성과 경시성이 좋다.
SKS3 : 합금 공구강으로 가격대 성능이 좋고 HRC 58이상의 열처리가 가능하여 프레스 받침판등에 자주 쓰인다. 주로 질화열처리로 사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