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성형에서의 문제 포인트는
- 다이슬라이드법
- 블로우 사출의 종류와 특징
- 사출 연신 블로우에 대한 설명
- 블로우 성형법에서 핫페리슨에 따른 블로우 성형 3가지 종류
- 블로우 다이 슬라이드법 / 콜드 페리슨에 대한 설명 / 압출 중공성형법
중공성형의 분류
1. 페리슨에 따른 분류
핫페리슨 , 콜드페리슨
핫페리슨 => 페리슨 압출후에 냉각하지 않코 바로 중공성형을 한다.
콜드페리슨 => 페리슨 사출후에 냉각 후에 고주파등으로 재가열후 중공성형한다.
콜드페이슨이 생긴 이유 : 쥬스병등을 제작후 완전환 병마게 형상을 위해서 1차 페리슨 사출에서 병마게 부분을 완전 결정화 되도록 하고 2차 중공성형에서 몸통을 고주파가열등으로 가열후 연신하며 중공성형한다.
콜드 페리슨은 핫페리슨으로는 정확히 병마게 부분이 형상이 생성 안되어서 콜드 페이슨법을 사용하게 됨
콜드 페리슨법 => 중공연신성형 법
핫페리슨법 ==> 다이렉트 법 , 금형이동법 , 페리슨 이동법
개념 : 물병용기 와 같이 속이 비고 바닥이 있는 사출품 성형 방법
방법 :
압출 중공 성형 : 먼저 블로어 될 속이 빈 튜브 예비사출물을 압출 -> 이어서 예비 사출물을 완성할 금형으로 감싼후 -> 공기를 불어 넣어서 금형안에서 팽창하도록 하여 용기 모양이 되도록 한 후 취출하여 완성
상세 사항 : 예비 사출물을 금형으로 감쌀때 밑 부분이 봉합 되도록 한다.
생산 응용 적용 : 금형이동식 블로 성형기 ( =핫 페리손 법 , 다이렉트 블로우 )
블로 성형에서 금형을 이동하여 파리손 압출을 연속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블로 성형기이다.
곧 금형을 크로스 헤드 다이에서 압출한 파리손을 끼우는 위치에 이동하여 파리손이 소정의 길이에 달하면 동시에 그것을 끼우고 곧바로 압출노즐 위에 설치 되어 있는 커터로 파리손을 절단한 뒤 금형을 성형 위치에 이동시킨다. 성형위치에 이동한 금형내에는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에서 파리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블로 성형을 한다. 그 다음 금형을 열어서 블로성형품을 꺼내는 동시에 금형을 파리손 압출용 다이의 위치에 이동한다. 금형의 개수와 이동형식에 따라서 수종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파리손 이동식 블로성형기와 마찬가지로 열안정법이 좋지 않은 성형재료의 블로성형에 적합하다.
단점 : 만약 병목에 나사가 있을 시 명확히 형상을 구현하기 조금 어렵다. ( 그런 경우 사출 중공성형을 한다. )
사출중공성형 : 페리손을 금형에 사출하여 완성하고 뒤이어 금형을 블로어 할 금형으로 교환하거나 이동후 압축공기로블로어 하는 성형 ( 페리손 사출후 뒤이어 블로우성형하는 경우를 1단계 블로우성형이라한며 핫페리슨법에 해당함)
압출 중공 성형으로는 병 뚜껑을 체결하는 병 주입구 스레드 형상을 명확하게 하기 어려워서 페리손을 사출 성형으로 병입구 부분의 스레드를 완성하며 페리손을 사출 결정화 완성 (냉각) 후 패리손 재가열후에 중공성형 하는 것을 2단계 블로우성형이라하며 콜드페리슨법에 속한다. 이경우 PET 병 생산에 많이 쓰이며 특히 블로우 바로직전에 스트레치 로드를 통해 페리손을 축 방향으로 스트레치 시키면서 블로잉하여 만드는 경우 사출 연신중공성형이라 한다.
사출 연신중공성형 : 페리손을 중공성형 할때 페리손을 축방향으로 누르며 스트레치 시키면서 블로잉 하는 법 (로드로 누르며 연신하는 이유는 페트병과 같이 길이가 긴경우 파리손을 그냥 압축공기로 블로잉하면 축방향보다는 원주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
'다시시작 > 특별한 사출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셀 / 초임계 발포사출 (0) | 2020.04.08 |
---|---|
블로우 성형법에서 핫 패리슨법에 따른 블로우 성형 3종류 (0) | 2020.04.04 |
템덤 몰드 (0) | 2020.04.03 |
노 웰드 공법 (0) | 2020.04.03 |
In-Mold Labelling 사출성형기술에 관한 특징을 5가지만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