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구조용 탄소강 : SM 중탄소강에 속하며 탄소량 0.3% ~ 0.6% 까지를 말하며 열처리후에 HRC 40 정도가 된다. 금형에서는 프레스의 홀더와 사출의 몰드베이스에 주로 쓰인다. 가공성이 좋다.
탄소 공구강 : JIS:SK KS:STC 고탄소강에 속하며 탄소량 0.8%~ 1.5% 까지의 탄소강이며 열처리후 HRC 50까지 형성된다. 주로 프레스에서 원형 펀치핀이나 리프터 핀, 사출에서 밀핀 등으로 많이 쓰인다 열처리후에도 가공성이 양호하다.
합금 탄소 공구강 : JIS :SKS, KS: STS 고탄소강 ( C 약 1.5%) 에 합금 W, Mo, V, Co 등이 합금되어 열처리후에 HRD 55까지 올라간다. 열처리는 질화열처리 일반열처리 모두 사용하며 너무 경도가 높아서 변형이 되기도 한다.
주요 강종으로는 , STS 3 , STS 5 등이 쓰인다
합금 다이스 공구강 : JIS :SKD KS STD , STD 강은 프레스용 냉간단조강으로 잘 쓰이며 열처리후에 100%마르텐사이트를 얻기위해 초서브처리를 해야한다. 뜨임은 고온뜨임 ( 400~500도) 후에 안정화된 조직을 얻는다. 고온뜨임후에는 소르바이트 조직을 주로 얻는다. 합금원소로는 합금 탄소강에서 W, Co를 빼고 Cr Ni 첨가시킨다. 각 원소들의 역할은 Cr : 담금질성을 좋게하고, Ni 가공 경화능을 높인다. Mo : 열처리성을 개선시킨다. V : 열처리성을 개선시킨다.
주요 소재로는 SKD11 ( 냉간가공성 좋음 ) 강인성이 좋음 , SKD 61 ( 열간가공성 좋음 ) 이 쓰인다. 특히 와이어 가공성이 좋고 청정성이 좋다.
합금 고속도강 : JIS, KS : SKH 합금 다이스 공구강에 -W 계로는 SKH9 계통으로 절삭공구용으로 쓰이고 -Co계는 SKH11 계통으로 금형강 등으로 쓰인다. 열처리는 1050도 까지 가열한 후
'다시시작 투 > 금형강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처리에 중요한 키워드 (0) | 2019.09.03 |
---|---|
금속표면 경화처리법 중 질화처리(Nitriding) (0) | 2019.09.03 |
금형의 열처리에서 심냉(Subzero)처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0) | 2019.09.03 |
금형재료의 선택 조건을 열거하고 선정 이유를 설명하시오 (0) | 2019.09.03 |
금형강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TD11과 STD61 재료를 1,050ºC 에서 담금질(Quenching)한 후 뜨임(Tempering)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경도(HrC)와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하시오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