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 펀치에서 스트립을 벗겨내어줌
종류 : 고정 스트리퍼 , 가동 스트리퍼
적용방법 : 판재가공에 벤딩등의 형상이 없이 이동레벨과 가공 레벨이 같은 경우 중에 소재가 3.0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 고정 스트리퍼를 고려한다.
고정 스트리퍼의 장점 : 1. 가공비가 저렴하다 2. 강도가 크다 ( 두꺼운 철판의 스트리핑력이 큰 경우 적당) 3. 가이드 역할도 해준다.
가동 스프리퍼의 장점 : 1. 정밀 가공이 된다 2. 전단력은 상승되나 치수 정밀도가 높아진다 3. 벤딩가공등에 소재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4. 주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 스트리퍼의 단점 : 금형의 내구성이 고정 스트리퍼에 비해 낮아진다 , 가동성에 문제가 없도록 윤활유와 방청관리르 해야한다. 가동 균형이 맞아야 내구성이 좋아진다
결론 : 스프리퍼는 고정 스트리퍼와 가동스트리퍼가 있는데 공통적 역할은 펀치에서 재료 스트립역할이며 가동 스프리퍼는 소재 가압역할을 추가로 가진다.
'다시시작 쓰리 > 프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스 기계의 3능력 (0) | 2020.04.04 |
---|---|
네킹(Necking) 가공 (0) | 2020.04.03 |
단(段) 드로잉 (0) | 2020.04.03 |
스테인리스강 판재의 원통형 드로잉(drawing)금형 작업 시 쇼크라인(shock line)에 대한 원인과 대책 (0) | 2020.04.03 |
금속 박판 성형공정에서 역드로잉(reverse drawing)과 재드로잉(redrawing)의 차이점을 설명 (0) | 2019.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