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의 시점이 재결정 온도 ( A3 , 930도) 이상에서 가공을 하는 것을 열간가공이라고 한다.

가공의 시점이 상시온도에서 가공을 하는 것을 냉간가공이라고 한다. 

 

결과에서의 차이점 

 

1. 냉간가공은 가공 경화가 생긴다. 

 원소가 슬립전위를 하며 끊어지고 손실되며 응력에 의해 경화된다.

 

2. 재결정온도에서 가공을 하기 때문에 가공에 의한 경화는 없다. 

 

가공 제품의 차이점 

 

1. 냉간가공은 드로잉 , 벤딩 등이 주를 이룬다

 가공 장비가 소재공급기 롤피더 , 프레스 기계 등이다. 

2. 열간가공은 자동차 내 외판등에 포밍 가공이 주를 이룬다. 

  가공 장비및 장소가 커야된다. 소재 가열기 그리고 프레스도 대형이 많다.

 

사용 소재의 차이점 

 

1. 냉간가공용 소재 CR 을 사용한다. 

  열간 가공으로 생성된 철판(HR)을  상시온도에서 압연하여 제작된 철판이 CR이다. 상시온도에서 압연을 진행하여서  

   조직이 경화되고 깨짐으로의  변화로 녹이 잘 발생한다. 

2. 열간 가공용 소재 HR 를 사용한다. 

   A3 (930) 보다 50도 정도 높은 가열온도에서 생성되어 나오는 철판 ( 최소 3mm )  이다 .

   주로 힘을 받는 건축재나 교량 등에 쓰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