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이케스팅의 종류 

핫챔버 / 콜드 챔버 / 저압 다이캐스팅 / 중력 다이케스팅 

 

2. 핫챔버와 콜드챔버의 구분 

용탕이 같이 있는 경우는 유동점이 그리 높지 않은 아연, 납, 주석 등으로  금형과 용탕이 같이 있는 핫챔퍼 ( 구즈넥 사용 ) 라 하고  용융점이 높은 편인 알루미늄 , 마그네슘등은 금형과 용탕이 떨어져 있는 콜드챔퍼 (냉가압) 라 한다. 

 

3. 콜드 챔퍼의 경우 고압다이캐스팅 속함

 콜드 챔퍼의 경우 고압다이캐스팅에 속하는데 이유는 용융점이 높아 용탕이 떨어져 있으나 국자로 떠서 가져오면서 식고 금형에 주입하려 할때 유동성일 잃기 때문에 가압하게 된다. 

 

4. 후육가공과 박육 가공

핫챔퍼는 플린저로 직접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용탕에 대기압을 주어 구즈넥을 통해 용융된 재료가 주입되도록 되어있어 고압이 부족하지만 용탕에서 바로 주입되어 흐름이 좋아 박육가공에 적합하고 콜드챔퍼는 플린저로 직접 가압하기 때문에 힘이 좋으나 용탕이 따로 있어 재료가 쉽게 식어 플린저로 가압해서 후육의 품질이 좋으나 박육품질은 않좋다.

 

5. 고압다이케스팅의 미세 수축공 불량의 원인 

콜드 챔퍼안에 레이들로 용융소재를 떠서 주어 채우고 난후 플린저로 금형안으로 밀어넣을때 속도 조절을 잘못하면 난류 발생으로  쇳물에 기체가 혼합되어 쇳물 내부에 수축공이 생길수 있다.

 

6. 플린저로 가압할때 난류가 발생되지않토록 하며 쉿물에 기체가 섞이지 안토록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