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도출하여 지속적으로 새롭고 스마트하게 생산 system化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글로벌 시장의 소비자 니즈는 환경과 시간, 사회적 공간 측면에서 점차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만큼 생산 설비 및 시스템과 공정도 정비례하게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또한 소비자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정보화에 의해 매일 매 시간마다 접하는 기술에 관한 정보로 더욱 더 스마트화 되어있어 거의 전문가 수준이고 늘 새로운 것을 느끼고 소유하고 싶어 한다.
따라서 생산 시스템은 이러한 산업 환경 변화에 합리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학문이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미래의 생산 시스템은 고기술 고설비를 다학제적으로 얼마나 융합할 수 있는 기술 콘텐츠를 개발하느냐에 따라 소비자 욕구(첨단적 스마트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포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얼마나 유연화 되고 지능화 되는 공통분모 만큼에
따라 서로가 요구하고 대응하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하나의 금형으로 15일~30일 이상 24시간 생산하는 대량 ‘장치산업‘의 비중은 급속히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1985년 일본의 ’소롯트 다품종‘ 생산 시스템을 밴치마킹하여 이를 추구하며 공정(line)을 개량하는데 온힘을 쏟은 기업이 30년이 훌쩍 지난 지금 그 결과로 대한민국은 물론 글로벌 최대 기업이 되었다.(도요타는 1970년대부터 시작)
이 시대는 생산 시스템을 빠르고 유연하게 그리고 탄력적으로 응용이 가능한 공장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 향후 2020년대에 필요한 고부가가치의 제품 생산을 할 수 있다. 아마도 이에 대한 수요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고 급속도로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생산 시스템의 진화는 2020년 지금보다 약 2배 이상 더욱 시급해졌다.
이를 누가 먼저 PDCA사이클을 도입하고 실행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가치가 변할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제조 혁신을 위해 지금까지 제조 플랫폼 기술 개발을
해오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올지 상상해 볼 필요한 시기이다.
- 최태근 산업도시경영의 미래 칼럼에서 발췌 -
answer
○ 위의 내용을 보고
그동안(8주) 수업한 내용을 접목하여
문제 1.
- 우리나라 산업 발전을 위한 생산 시스템 도입 과정과 미래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 2.
- 바람직한 생산 시스템화가 되게 하려면 어떠한 필요 요건이 있는지에 대해 논 하시오


- MPS(Master Production Scheduling)





미래과제
blog.lgcns.com/2126?category=668697
고객 맞춤형 대량 생산의 시대, 공급망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소통의 공간 제약이 사라지고 개인의 정보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면서 소위 밀레니얼 세대가 주요 소비 계층으로 등장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개인의 개성과 주�
blog.lgcns.com
스마트 팩토리의 요건은 스마트 팩토리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사이클, 그리고 실제 기능의 구현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술 영역이라 정리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기능 요건 관점에서 사람과 비교하자면, 피부, 눈 등 변화를 인지하는 감각 기능, 감지된 정보를 통해 반응을 보이도록 하는 뇌의 역할인 판단 기능,
그리고 신체의 근육처럼 판단의 결과에 따라 이를 수행하는 실행 기능으로 비유할 수 있다. 사람이 실행 결과를 다시 받아들여 새로운 감지-판단 실행의 사이클을 일생 동안 계속해서 수행하듯, 스마트 팩토리도 일회성이 아닌 해당 사이클 체계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운영하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기술 요건 측면에서 보면 IT는 기능 요건의 구현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IT는 과거에 매우 힘들게 구현했던(할 수 없던 것이 아닌) 것을 보다 수월하게 만들어주는 수단임에는 틀림없으나, 지금처럼 모든 관심을 홀로 받을 만큼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진 않다고 판단된다. 실제로 가장 먼저 시도되어야 하고, 중요도도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OT 영역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영역이고, 실제 일의 본질에 충실한 것이 실패를 최소화하는 지름길이라
생산 시스템의 의미
- 생산 시스템은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인력, 기계, 절차 등을 생산 공정에 맞게 체계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생산 설비와 제조 지원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생산 설비
생산 설비는 공장 건물, 생산 기계, 공구, 자재 취급 장비, 검사 장비 등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장비와 공정을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 등 제품 생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장비를 말한다. 생산 공정에 따른 기계의 배치는 직접적인 장비는 아니지만, 제품 생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생산 설비에 포함된다.
제조 지원 시스템
제조 지원 시스템은 생산 설비의 활동을 관리하는 사람과 절차를 말한다. 제품 생산에 필요한 공정의 결정과 생산 기계의 설계, 생산 계획과 관리, 제품 품질 검사 및 관리 등의 활동으로 제품 생산을 간접적으로 지원한다.
▶ 생산 수량에 따른 생산 설비의 배치 :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 설비의 배치는 제품의 생산 수량과 제품의 다양성에 따라 달라진다.
고정 위치 배치 - 선박, 항공기, 기관차, 대형 기계 등 제품의 크기가 무거워서 공장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작업물을 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작업 기계와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최종 조립까지의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공정별 배치 - 생산 기계와 작업자를 공정별로 배치하여 필요한 공정에 따라 작업물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대형 제품을 구성하는 개개 부품의 기능 또는 유형에 따라 기계 장비를 그룹화하는 설비 배치 방식이다.

셀형 배치 - 한 개의 셀에서 몇 가지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계를 배치하는 것으로, 유사한 부품 혹은 약간의 변화가 있는 제품을 전환 시간의 낭비 없이 동일한 장비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품별 배치 -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생산이 필요한 경우 택하는 배치 형태로, 작업자와 작업 기계는 고정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로 작업물을 이송시키는 방식이다. 제품의 수요가 매우 높고 생산을 위한 전용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치이다.

생산 시스템의 발달
개별 생산 시스템(다품종 소량 생산)
중소 규모의 제조업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생산 형태로, 대부분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전개된다. 개별 생산은 양산에 의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려운 제품 생산에 유리하며, 항공기 제조업, 조선업, 맞춤 의류 제조업 등에서 볼 수 있다. 수요 변화에 대한 대응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연속 생산 시스템(소품종 다량 생산)
연속 생산은 정해진 생산 공정에 따라 일정한 생산 속도로 적은 종류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생산의 흐름이 연속되므로 어느 한 곳에서 고장이 생길 때에는 전체 공정이 정지되어 많은 손실을 입게 된다. 그런 점에서 다른 생산 시스템에 비하여 생산 공정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낭비되는 시간이 없으며 작업의 분업화로 미숙련자나 반숙련자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로트 생산 시스템
로트 생산 시스템은 로트 단위로 생산하는 방식으로, 매월 비슷한 양을 생산하지만 작업 여건상 매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개별 생산과 연속 생산의 중간 형태인 로트 생산 형태를 취하고 있는 공장이 많은 편이며, 개별 생산 방식의 공장이라도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생산은 로트 생산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로트 생산 시스템을 취하는 업종으로는 공작 기계 제조업, 단조·주조업, 의류·제화 제조업, 도자기 제조업 등이 있다.
자동화 생산 시스템
유연 생산 시스템(FMS) : 유연 생산 시스템은 생산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여러 종류의 제품을 가공 처리할 수 있는 유연성이 큰 자동화 생산 라인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머시닝 센터, 로봇, 자동 창고, 무인 운송기, 제어용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자동 조립 가공 라인을 가리킨다.
컴퓨터 통합 생산 시스템(CIM) : 생산 - 판매 - 기술의 3분야를 통합한 것으로, 주문을 받는 단계에서부터 생산품을 시장으로 내보내는 단계까지 공정 시스템을 컴퓨터로 종합 처리하여 시간을 단축하고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응하는 자동화 생산 시스템이다. 즉, 가공, 조립 등 좁은 의미의 생산 자동화에 설계, 자재 관리, 품질 관리, 생산 관리 등 공장 전체의 정보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통합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 토요타 생산 방식 : 토요타 생산 방식은 일본의 토요타 자동차 회사의 생산 관리 시스템으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필요한 만큼 골라서 대금을 지불하는 슈퍼마켓 방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필요할 때 필요한 양만큼 생산 공정이나 현장에 인도하여 적시에 생산하는 방식(Just-In-Time Production)으로 전개된다. 이는 불필요한 생산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토요타 방식은 본질적으로 낭비(waste)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 출처 : 천재학습백과 )





强小기업 製造人 : 네이버 블로그
4차 산업혁명시대에 중소, 중견기업이 한국형강소기업(K Champ)으로 거듭 태어나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 제조 및 혁신활동 부문의 製造人 핵심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존재
blog.naver.com



'산기대 > 4차 산업혁명과 생산시스템(최태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산업 혁명에 대한 가치사슬의 변화 (0) | 2020.06.10 |
---|---|
다품종 소량생산 , 딥러닝과 인공지능을 통해 자동 생산하는 가변적 생산 (0) | 2020.05.28 |
제출 일정 (0) | 2020.05.27 |